AWS EC2 (5) 썸네일형 리스트형 EC2, RDS 배포시 주의사항 총정리 AWS EC2 Spring boot + RDS(MySQL) 구축 후 DNS 포워딩을 할 것이다. 총 5단계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. 1. AWS EC2 + RDS 생성 2. RDS table 생성 3. VSCode Spring Boot 로컬 환경 서버 구축 4. 로컬 서버 코드 EC2 업로드 + DNS 포워딩 5. EC2, RDS 주의사항 이제 마지막 장이다. 오류사항이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업로드 할 것이다. 5. EC2, RDS 주의사항 1. EC2의 SSH or RDS 접속이 안됨 4장 참고 https://pu1et-panggg.tistory.com/69 원인 : EC2 or RDS 인바운드 규칙내에 내 IP가 존재하지 않아 생기는 오류 해결 : EC2 인스턴스 or RDS의 인바운드 규칙에 내 IP.. AWS EC2/RDS Spring Boot 배포 + DNS 포워딩 (4) AWS EC2 Spring boot + RDS(MySQL) 구축 후 DNS 포워딩을 할 것이다. 총 5단계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. 1. AWS EC2 + RDS 생성 2. RDS table 생성 3. VSCode Spring Boot 로컬 환경 서버 구축 4. 로컬 서버 코드 EC2 업로드 + DNS 포워딩 5. EC2, RDS 주의사항 4장. 로컬 서버 코드 EC2 업로드 + DNS 포워딩 1. GitHub 업로드 1) GitHub에 Repository 생성 2) 원격 저장소 주소 복사 3) 원격 저장소에 로컬 코드 저장 git init git add . git commit -m "commit message" git remote add [remote 저장소] [복사한 저장소 주소] git push [.. AWS EC2/RDS Spring Boot 배포 + DNS 포워딩 (3) AWS EC2 Spring boot + RDS(MySQL) 구축 후 DNS 포워딩을 할 것이다. 총 5단계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. 1. AWS EC2 + RDS 생성 2. RDS table 생성 3. VSCode Spring Boot 로컬 환경 서버 구축 4. 로컬 서버 코드 EC2 업로드 + DNS 포워딩 5. EC2, RDS 주의사항 3장이다. 벌써 반절이다. 1) VSCode에서 Spring Boot 개발시 필요한 초기 환경 설정 2) 로컬에서 개발할 때 RDS 연결시 필요한 코드 이 2가지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. 3장. VSCode Spring Boot 로컬 환경 서버 구축 on Mac 1. VSCode에서 Spring Boot 초기 환경 설정 1) VSCode + JDK 설치 VSCode D.. AWS EC2/RDS Spring Boot 배포 + DNS 포워딩 (2) AWS EC2 Spring boot + RDS(MySQL) 구축 후 DNS 포워딩을 할 것이다. 총 5단계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. 1. AWS EC2 + RDS 생성 2. RDS table 생성 3. VSCode Spring Boot 로컬 환경 서버 구축 4. 로컬 서버 코드 EC2 업로드 + DNS 포워딩 5. EC2, RDS 주의사항 사실상 1번이 제일 오래걸린 것 같다. 2장. AWS RDS table 생성 AWS RDS에 접속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추가/삭제/수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다. 대표적으로 MySQL Client, MySQL Workbench, Sequel Pro 등이 있다. 1. AWS RDS 접속 전 확인 사항 * 접속 시도 전 내 외부 IP가 RDS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에 포함되어 .. AWS EC2/RDS Spring Boot 배포 + DNS 포워딩 (1) AWS EC2 Spring boot + RDS(MySQL) 구축 후 DNS 포워딩을 할 것이다. 총 5단계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. 1. AWS EC2 + RDS 생성 2. RDS table 생성 3. VSCode Spring Boot 로컬 환경 서버 구축 4. 로컬 서버 코드 EC2 업로드 + DNS 포워딩 5. EC2, RDS 주의사항 1장. AWS EC2 + RDS 생성 1. AWS EC2 인스턴스 생성 1) EC2 대시보드 -> 인스턴스 시작 -> OS 선택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하면 OS 리스트가 나온다. 난 우분투가 편하니 18.04 LTS 64bit 를 선택한다. CentOS는 Amazon Linux를 선택하면 된다. 2) 인스턴스 유형 선택 -> 다음 (검토 및 시작X) 인스턴스 유형 리스트.. 이전 1 다음